미국이 인공지능(AI) 관련 산업에서 중국 공급망을 탈피하기 위해 원자재 수급처를
다변화하는 방향의 정책을 펼친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.
- 중국산 텅스텐이 AI 연산을 위한 반도체 소재에 많이 쓰이다 보니 이를 대체하기 위해
한국 텅스텐 광산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.
- 27일(현지시각)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강원도 영월읍에 위치한 상동 광산이
미국의 텅스텐 대체 공급원으로 부각되고 있다.
- 텅스텐은 반도체 핵심 공정인 금속 배선 공정에 필요한 육불화텅스텐(WF6)의 주 원료다.
▷ AI 프로그램 연산을 수행할 데이터센터 등에 반도체가 대규모로 필요해 텅스텐 수요
또한 따라 커지고 있다.
- 그러나 중국이 텅스텐 정광의 83%를 생산해 시장을 독식하고 있어 상동 광산과 같은
다른 수급처의 중요성이 떠오른 것이다.
▷ 포브스는 “중국이 AI 관련 제품 제조에 기본인 텅스텐을 사실상 통제하고 있다”라며 “미국은 한국과 원자재 공급에서 협력하는 전략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”라고 주장했다.
- 상동 광산은 5800만 톤에 달하는 텅스텐이 매장돼 세계 공급량의 10%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췄다.
▷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채산성이 떨어져 1994년 문을 닫았다가 글로벌 광산기업 알몬티산업이 2015년 인수했다.
- 알몬티산업은 한국에 알몬티 대한중석 법인을 세워 채굴 준비를 한 뒤 올해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.
▷ 생산량 가운데 50%는 한국 시장에 공급할 것이라는 계획도 세웠다.
→ 알몬티산업의 루이스 블랙 최고경영자(CEO)는 포브스를 통해 “상동 광산이 전략적 핵심 광물의 원산지를 다각화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”라며 “미국에 텅스텐
광산이 없기 때문에 중요도가 더 크다”라고 짚었다.